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async/await
- 스코프
- pm2
- westagram
- 노드
- typescript
- nodeJS
- 호이스팅
- OSI7계층
- docker
- TypeError: this.boardRepository.createBoard is not a function
- node
- wecode
- bcrypt
- Jest
- on_delete
- 트랜잭션
- JWT
- django westagram
- 자바스크립트
- 프로미스
- crud2
- javascript
- 실행 컨텍스트
- Django
- rebase
- CORS
- 장고초기세팅
- status code
- manytomanyfield
- Today
- Total
될때까지
개념정리 :: URI, URL, URN? 본문
이 블로그에 정리되어있는 모든 개념들은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잘못 기술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발견하시면 언제든지 지적해주세요😄
💡 URI :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는 인터넷 상에서 특정 자원(자원이라하면.. 데이터나 서비스 정도?)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열이다. Identifier라면 ID라는 이야긴데 ID는 유일한 고유값이라는 것을 기억하고 있자. 즉 인터넷에서 자원을 나타내려면 어떻게 해야 겹치지 않고 고유하게 표기할 수 있는지 정의한 기본 조건으로, 자원의 위치 or 이름 or 둘다 사용하여 식별할 수 있고 URN과 URL의 상위 개념이다.
💡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URL은 자원의 위치만 나타내는 방법이다. 여러개의 자원들이 같은 이름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웹 상에서 자원을 찾는 데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URL이다. Location 위치를 나타내는 URI가 URL이다.
URL의 구조
scheme ://host[:port][/path][?query]
scheme : 통신 방식인 7계층 프로토콜을 명시한다.
host : 여기에 도메인주소를 쓰면 DNS 서버에서 IP주소로 변환한다.
port : 지정하지 않으면 80 or 443 포트가 자동으로 부여되지만 생략된다.
path : 웹 서버에서 지정한 루트 디렉토리에서부터 필요한 자원이 위치한 경로
query : 금요일 웹툰, 24화와 같이 서버에 보내는 추가적인 요청 사항
💡 URN : Uniform Resource Name
URN은 자원의 이름만 나타내는 방법이다. Name 이름을 나타내는 URI가 URN이다. URN은 이름만 명시하기 때문에 자원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영향을 받지 않고 영구적이고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URI다.
💚 결론 💚
URN과 URL은 URI다. URI는 URL이다.(X)
* 참고한 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vpYct2npKD8&t=368s
https://www.youtube.com/watch?v=2ikhZ_fNP5Y
https://computer-science-student.tistory.com/517
'학습 >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념정리 :: DNS? (0) | 2022.06.17 |
---|---|
개념정리 :: 동기 vs 비동기? 블럭 vs 넌블럭? (0) | 2022.05.28 |
개념정리 :: DOM과 렌더링이란? (0) | 2022.05.25 |
개념정리 :: 크로스 브라우징, Reset.css vs Normalize.css (0) | 2022.05.23 |
개념정리 :: 절대경로 vs 상대경로? (0) | 2022.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