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TypeError: this.boardRepository.createBoard is not a function
- manytomanyfield
- bcrypt
- Jest
- django westagram
- typescript
- OSI7계층
- Django
- status code
- 장고초기세팅
- async/await
- docker
- wecode
- 스코프
- crud2
- on_delete
- CORS
- rebase
- 호이스팅
- node
- nodeJS
- pm2
- JWT
- 자바스크립트
- 노드
- javascript
- 실행 컨텍스트
- westagram
- 프로미스
- 트랜잭션
- Today
- Total
목록프로젝트/wecode2차 : WnB (17)
될때까지

카카오 프로필 이미지와 WnB 프로필 이미지 동기화 유저가 카카오톡에서 프로필 이미지를 변경한 경우, DB에 저장된 프로필 이미지와 달라진다. 똑같이 유지할 순 없을까 생각하다가 if문을 추가해서 카카오톡 상의 프로필 이미지와 wnb의 이미지를 똑같게 변경하는 코드를 추가했다. if와 똑같은 코드의 반복이 마음에 안들지만.. 지금 생각해낼 수 있는 코드는 저게 전부...! class KakaoOauthView(View): def get(self, request): token = request.META.get('HTTP_AUTHORIZATION') KAKAO_URL = 'https://kapi.kakao.com/v2/user/me' HEADER = {'Authorization': token} user_in..

이제 로그인 데코레이터를 구현할 차례다. 코드는 지난 위스타그램 스터디때 작성했던 코드를 참고해서 작성했다. import jwt from functools import wraps from django.conf import settings from django.http import JsonResponse from users.models import User def signin_decorator(func): @wraps(func) def wrapper(self, request, *args, **kwargs): try: if 'Authorization' not in request.headers: return JsonResponse({'message':'KEY_ERROR'}, status=400) token =..

* 서버에 요청하는 메소드 : GET / POST GET방식 : URL뒤에 붙여서 보낸다. ex)www.test.com?id=hello1&pw=abcd1234! HTTP패킷의 '헤더'에 담긴다 POST방식 : BODY에 데이터를 넣어서 보낸다. * 헛짓(?)한 코드 import requests import json import jwt from django.shortcuts import redirect from django.http import JsonResponse from django.views import View from users.models import User from wnb import settings REST_API_KEY = 'b75ac57d41bd4ab6442b150d79e36bee' ..
import requests import json from django.shortcuts import redirect # 새 창으로 이동 from django.http import JsonResponse from django.views import View from users.models import User class KakaoSignUpView(View): def get(self, request): token = request.META.get('HTTP_AUTHORIZATION') # 프론트앤드가 보내준 요청의 헤더에 있는 AUTHORIZATION 값을 뽑는다. url = 'https://kapi.kakao.com/v2/user/me' # 요청보내야하는 url (카카오 공식문서에 있음) header ..

* DecimalField도 기본값 설정 가능 point = models.DecimalField(max_digits = 10, decimal_places = 2, default=Decimal('100000.00')) * 카카오ID는 BigIntegerField - 카카오 공식문서에서 id는 long type으로 보내주기 때문에 BigIntegerField kakao_id = models.BigIntegerField(unique=True) * DB삭제하고 다시 넣기 외래키 해제 set foreign_key_checks = 0; 외래키 활성화 set foreign_key_checks = 1; 테이블 ID까지 삭제(ID값 초기화) truncate 테이블명; 테이블 데이터만 삭제(ID값 연결) delete fr..

어제보다 복잡해진 우리의 ERD . 3명이서 작업하기에는 시간이 많이 남을 것 같다고 하셔서 호스트 기능과 리뷰를 추가했다. 모델링작업은 초기에 확장성까지 고려해서 만드는 게 좋다는 걸 1차에서 뼈저리게 느꼈기에..!!! 해당 ERD를 베이스로 모델링 작업을 진행했다. 이미 다 알고있는 개념이다 싶었는데 알고있는 게 아닌 '익숙'해진 것들이였다ㅜㅜ 그래서 진행하면서 몰랐던, 혹은 부족했던 개념들을 포스팅으로 정리해보고 넘어가자!! auto_now=True & auto_now_add=True updated_at = models.DateTimeField(auto_now = True) auto_now=True는 현재 날짜 created_at = models.DateTimeField(auto_now_add = ..

1주차 프로젝트가 끝나고 바로 2주차 프로젝트가 시작이 됐다 ^___^ 쉴틈없이 몰아붙이는 위코드 💪 2차 프로젝트는 에어비앤비 사이트를 모티브로 삼았다. 2차 프로젝트는 1차때보다 많이 버벅거리고 싶지 않은데 마음처럼 될란가 모르겠다.. 할 수 있다 할수있다 멘탈을 다잡고 있다!! 못하니까 배우려고 온거잖아 힘내자 할수있어 이번에도 파이팅!! 에어비앤비를 모티브로한 WnB의 백엔드 기준 필수구현사항과 추가구현사항은 아래와 같이 정했다. * 필수 회원가입 로그인 로그인 데코레이터 소셜 로그인(카카오) 상품 리스트 상품 상세 페이지 상품 필터 예약 예약 상세 페이지 * 추가 알림 결제 마이페이지 예약기능 : 유연한 일정 찜하기(위시리스트) 리뷰 개인정보변경 비밀번호 변경 백엔드 이번 팀은 위코드 첫 날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