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프로미스
- on_delete
- JWT
- pm2
- javascript
- wecode
- Jest
- 노드
- 호이스팅
- 실행 컨텍스트
- bcrypt
- manytomanyfield
- 트랜잭션
- node
- 자바스크립트
- westagram
- crud2
- nodeJS
- 스코프
- rebase
- OSI7계층
- django westagram
- TypeError: this.boardRepository.createBoard is not a function
- typescript
- async/await
- docker
- CORS
- 장고초기세팅
- status code
- Django
- Today
- Total
목록학습/개념정리 (38)
될때까지

git? 코드의 진행내용 및 수정내역을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버전 관리 프로그램이다. 브랜치 생성, 이전 상태로 돌아가기, 삭제, 병합 등이 가능하지만 로컬 저장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개발자와 작업 공유가 불가능하다. git hub? git 저장소를 관리하는 클라우드 기반 호스팅 서비스다. 클라우드 기반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과 코드 공유가 가능하고 한 프로젝트에 여러명이 참여해서 공동 작업도 가능하다. git flow? 브랜치를 분리함으로써 소스 코드 형상/이력 관리를 효율적으로 진행하며 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략으로 5가지 종류의 브랜치가 존재한다. 항상 유지되는 메인 브랜치, 일정 기간 유지되는 보조 브랜치들이 있다. master : 제품으로 출시될 수..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구조적 질의 언어의 줄임말로,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RDB)에서 데이터를 보다 쉽게 검색,추가,삭제,수정같은 조작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언어다. SQL문법은 크게 3가지의 종류로 나뉜다.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 언어) DDL(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정의 언어) DCL(Data Control Launguage, 데이터 제어 언어) SQL 뜻 해석 예시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 및 데이터 관리를 위한 언어다. INSERT, UPDATE, DELETE, SELECT..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베이스의..
Request 메세지 구조 HTTP 요청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일을 시작하게 하기 위해 보내는 메세지다. 이 메세지의 구조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1. Start Line : HTTP request message의 시작라인 GET /login HTTP/1.1 # 해석: GET 메소드로 login 이라는 요청 타겟에 HTTP 1.1 버전으로 요청을 보내겠다! HTTP Method : 해당 요청이 의도한 액션을 정의한다 (GET, POST, PUT, DELETE 등) Request Target : 해당 request가 전송되는 목표 url HTTP Version : 사용되는 HTTP 버전을 뜻한다(주로 1.1버전이 널리쓰임) 2. Headers : 해당 요청에 대한 추가정보(메타 데이터)를 담고는 부..

🍋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현재 상태를 나타내면서 주고 받는다는 뜻이다. 🍊RESTful API 이러한 REST한 특징을 지키는 API를 말한다. - Graphql은 엔드포인트가 하나다. 그 하나로 들어오면 모든 메소드 요청을 다 처리한다.(페이스북 현메타에서 만들었음) - REST API는 웹상에서 사용되는 여러 자원들을 HTTP URI로 표현하고 그 자원에 대한 행위를 HTTP Method로 정의하는 방식이다. API 그 자체만으로도 API의 목적이 쉽게 파악된다. 하지만 표준 규약이 없기 때문에 안티 패턴(실제 많이 사용되는 패턴이지만 비효율적이거나 비생산적인 패턴)으로 작성되는 경우가 많다. URI(Uniform Resource Identifi..
E2E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가 모두 합쳐서 브라우저상에서 카테고리를 눌렀을 때 해당되는 카테고리 데이터가 나오는가, 회원가입을 하면 DB에 저장이 되는지 등을 테스트하는 방식입니다. Integration 백엔드로 예를 들면 포스트맨으로 테스트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장고로 서버를 띄우고서 모델 클래스와 결합하고, DB와 연동해서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Unit test 작성한 코드의 가장 작은 단위(함수)를 테스트하는 메소드를 만들어서 내가 짠 코드를 테스트하는 방식입니다.
MySQL 콘솔 로그인 # 로컬 mysql -u root -p # 호스트 mysql -h 호스트주소 -u root -p 데이터베이스 생성 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이름 character set utf8mb4 collate utf8mb4_general_ci; 데이터베이스 리스트 보기 show databases; 데이터베이스 선택하기 use 데이터베이스이름; 데이터 삭제 delete from 테이블이름 where 조건 데이터베이스 덤프 내보내기 mysqldump -u root -p 데이터베이스이름 > 생성할이름.sql 덤프 밀어넣기 mysql -h 호스트주소 -u root -p 데이터베이스이름 < 파일명.sql
외우자!!! HTTP 에러코드 에러메시지 에러 뜻 200 OK 에러없이 성공! 201 Created 생성 성공 (POST) 예 - 회원가입, 게시글 등록 400 Bad Request 우리가 의도한 에러를 일으켰다 Key값이 안들어온 경우 예 - 이메일, 비밀번호 들어와야하는데 이메일만 들어온 경우 예 - 이메일이 중복되는 경우 예 - 비밀번호가 영대소문자+숫자+특수문자 아닌 경우 401 Unauthorized 권한이 없다 예 - 비밀번호가 DB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403 Forbidden 메소드가 안맞은 경우. 예 - POST 인데 GET으로 올 때 404 Not Found 엔드포인트가 잘못되었다. 요청한 페이지가 없는 경우 예 - url까진 연결이 되었는데 그 뒤 주소가 틀렸다 500 Interna..

1. 인증(Authentication) 유저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확인하여 로그인에 성공시키는 경우처럼,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절차를 말한다. 1-1. 로그인 절차 회원가입을 할 때 사용자가 ID와 PW를 입력한다. 사용자가 입력한 PW는 암호화해서 DB에 저장한다. 사용자는 로그인할 때 ID와 PW를 입력한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한 PW를 다시 암호화한 뒤, 암호화되어서 DB에 저장되어있는 PW와 비교를 한다. 일치하면 로그인 성공으로 사용자에게 토큰을 발급해준다. 로그인에 성공한 이후부터는 나 인증된 사용자야 라는 것을 알리기 위해 request를 날릴 때 토큰을 첨부하여 서버에 같이 전송한다. 1-2. 유저 비밀번호 암호화 유저의 비밀번호는 꼭 암호화해서 DB에 저장해야하는데 단방향 해쉬함수가 ..
HTTP란?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다. HyperText는 문서와 문서가 링크로 연결되도록 하는 태그로 구성된 언어를 뜻하고 Transfer은 전송한다는 의미. Protocol은 협약, 통신 규약이라는 뜻으로 물리적으로 떨어진 컴퓨터끼리 어떻게 HTML파일을 주고 받을지에 대한 약속을 의미한다. 즉 HTTP란 컴퓨터들끼리 HTML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통신규약, 약속이다. HTTP는 두가지 특징이 있다. 1) Request / Response (요청/응답) - 요청과 응답으로 소통이 이뤄진다. 2) Stateless - http통신은 유지되지 않는다. 모두 독립적이라서 HTTP통신의 결과를 보존하지 않는다. HTTP Methods 1) Get(조회) : 이름 그..

운영체제(OS)란? 윈도우, 맥OS, 리눅스 등을 컴퓨터 운영체제라고 한다. 운영체제란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여러 프로그램들의 모임이라고 할 수 있다. 리눅스란? 그리고 리눅스를 사용하는 이유는? 리눅스는 1991년 리누스 토발즈에 의해 개발되었다. 리눅스는 오픈 소스이기 때문에 누구든지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수정하고 배포할 수 있어서 전 세계 개발자들에 의해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어서 서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멀티태스킹) 다수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여러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멀티스레드). 리눅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