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실행 컨텍스트
- 자바스크립트
- 프로미스
- django westagram
- crud2
- OSI7계층
- 트랜잭션
- rebase
- on_delete
- manytomanyfield
- wecode
- async/await
- 노드
- nodeJS
- javascript
- typescript
- Django
- status code
- westagram
- CORS
- 스코프
- TypeError: this.boardRepository.createBoard is not a function
- Jest
- bcrypt
- node
- 호이스팅
- JWT
- pm2
- docker
- 장고초기세팅
- Today
- Total
목록학습/개념정리 (38)
될때까지

이 블로그에 정리되어있는 모든 개념들은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잘못 기술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발견하시면 언제든지 지적해주세요😄 📖 DNS → HOST? 인터넷(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나 장치 → IP주소(Internet Protocol)? host끼리 서로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주소다. 네트워킹이 가능한 장비들을 식별하는 주소이며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하기 위해 따라야하는 일종의 규약이다. 컴퓨터 자체의 식별 주소가 아니라 컴퓨터가 연결된 네.트.워.크 끝단의 주소라는 점을 유의하자. (따라서 IP주소가 바뀔 수도 있음. 고정IP/유동IP)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들은 IP주소를 이용해 서로를 구별하고 통신한다. IPv4(Version 4) : 0.0.0.0 ~256.256.256.256 이론..

이 블로그에 정리되어있는 모든 개념들은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잘못 기술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발견하시면 언제든지 지적해주세요😄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다 보니까 자꾸 등장하던 동기, 비동기의 개념. 두루뭉술하게 얼추 씽크좀 맞춰라에서 쓰이는 것처럼 무언가를 맞추라는 뜻이겠거니 하고 넘어갔는데 CS지식을 쌓고자 여러 영상을 보던 도중에 또 동기, 비동기가 등장을 했다. 이참에 개념을 제대로 정리하고 넘어가야겠다 싶어서 오늘의 포스팅 토픽으로 정하게 되었다. 🔷 동기(Synchronous)와 비동기(Asynchronous) 함수의 작업 완료!! 1) 동기(Synchronous) 동기는 호출되는 함수의 작업 완료에 대해 신경이 씽키고(Synchronous) 순서에 맞게 처리하는 작업 방식이다. 해야하..

이 블로그에 정리되어있는 모든 개념들은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잘못 기술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발견하시면 언제든지 지적해주세요😄 💡 URI :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는 인터넷 상에서 특정 자원(자원이라하면.. 데이터나 서비스 정도?)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열이다. Identifier라면 ID라는 이야긴데 ID는 유일한 고유값이라는 것을 기억하고 있자. 즉 인터넷에서 자원을 나타내려면 어떻게 해야 겹치지 않고 고유하게 표기할 수 있는지 정의한 기본 조건으로, 자원의 위치 or 이름 or 둘다 사용하여 식별할 수 있고 URN과 URL의 상위 개념이다. 💡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URL은 자원의 위치만 나타내는 방법이다. 여러개의 자원..

이 블로그에 정리되어있는 모든 개념들은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잘못 기술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발견하시면 언제든지 지적해주세요😄 자바스크립트 관련 영상을 보는데 자꾸만 등장하는 돔돔돔 DOM.. 도대체 DOM이 뭐야 하고 찾아봤지만 쉽게 이해가 되지 않았고, 반복을 거듭하여 조금이나마 머리에 스케치가 되어가고 있는 개념을 잊지 않기 위해서 포스팅으로 남겨본다!! 자바스크립트 언어의 탄생 배경 자바스크립트는 정적인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만들기 위해 개발된 언어다. HTML문서를 조작하기 위해 만들어졌다지만, 어떻게 확장자가 다른 .html이나 .css와 같은 파일을 자바스크립트가 읽고 수정할 수 있는 것일까? 이를 이해하려면 렌더링, DOM에 대한 개념이 필요했고 여러가지 자료들을 참고하여 해당..

이 블로그에 정리되어있는 모든 개념들은 학습 개념으로 혼자 정리한 내용입니다. 잘못 기술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발견하시면 언제든지 지적해주세요😄 위코드 사전스터디 최고!! 오늘도 사전스터디 미팅이 있는 날인데, 감사하게도 팀원분이 코드를 살펴봐주셨다 ㅜㅜ 내가 그렇게 받고 싶었던 코드피드백 흑흑 감격의 눈물 😭 한번도 들어본적이 없었지만, 1팀 팀원분덕에 알게된 새로운 개념, 크로스 브라우징에 대해 정리하고 넘어가도록 하겠다. 크로스 브라우징이란? : 웹 페이지가 웹 브라우저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제작자의 의도에 맞게 보여지거나 동작할 수 있게 하는 작업이다. 내가 작성한 스타일대로 화면에 나타나지 않는 이유? 웹 브라우저마자 기본값으로 제공하는 스타일이 있어서 개발자가 작성한 대로 화면에 나타나..

이 블로그에 정리되어있는 모든 개념들은 학습 개념으로 혼자 정리한 내용입니다. 잘못 기술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발견하시면 언제든지 지적해주세요😄 🦸♀️ 개념정리 - 절대경로(Absolute path) : 루트 디렉토리(최상위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찾아가는 경로 (import를 하는 파일이나 경로에 상관없이 항상 경로가 동일하다.). 한가지 단점으로는 경로가 길어질 수 있다.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대경로를 사용한다. - 상대경로(Relative path) : 나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찾아가는 경로다. 경로의 길이를 줄여준다는 장점은 있지만, 헷갈리기 쉽고 파일의 위치가 변경되면 경로 위치도 변경되어야한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절대경로를 사용하는 게 권장된다. 1) ./ - 현재 내가 속해있는 웹 페이..

이 블로그에 정리되어있는 모든 개념들은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잘못 기술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발견하시면 언제든지 지적해주세요😄 컴퓨터는 ✌🏻(2)진법, 사람은 🙌🏻(10)진법 인간은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사용하는 10진법을 사용하지만 컴퓨터는 전기가 흐른다, 전기가 흐르지 않는다의 2가지 경우를 0과 1로서만 알고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작성한 코드들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서는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게 0과 1로 번역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번역하는 방식에 따라 프로그래밍 언어는 컴파일 언어 vs 인터프리터 언어로 나뉜다. 언어의 동작 방식에 따른 분류 1. Compiler : 전체 소스코드를 차곡차곡 쌓아서 한번에 번역한다. 예)C언어 : 소스 코드를 모두 번역을 하고, 메모리에 ..

이 블로그에 정리되어있는 모든 개념들은 학습 개념으로 혼자 정리한 내용입니다. 잘못 기술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발견하시면 언제든지 지적해주세요😄 컴퓨터는 손가락이 2개라서 2개만 셀 수 있다. 컴퓨터에 전압이 흐른다 / 안흐른다 2가지의 경우로, 이를 0과 1로 대변해 데이터들을 처리한다. 이때의 이 0과 1은 데이터의 최소 단위이며, 비트(bit)라고 부른다. 이를 2진법 binary라고 한다. 그렇다면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들은 어떻게 컴퓨터가 알 수 있는 걸까? 문자와 숫자를 1대1로 매칭시킨 문자표(character set)를 사용한다. 문자를 숫자로 바꾸고 그 숫자를 또 2진법으로 바꿔서 0과 1로 이루어진 숫자로 바꿔버리면, 컴퓨터가 읽을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사람의 언어를 컴퓨터의 언어로..

이 블로그에 정리되어있는 모든 개념들은 학습 개념으로 혼자 정리한 내용입니다. 잘못 기술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발견하시면 언제든지 지적해주세요😄 HTTP는 무상태성(클라인트와 첫 통신에서 주고받은 데이터를, 다음에 유지하지 않는다.) 그리고 비연결성(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하고 나면, 연결을 끊어버린다.)이라는 특징이 있어서 정보가 유지되지 않는다. 하지만 페이지를 이동해도 특정 데이터들을 유지해야할 필요가 생겼고, 이러한 HTTP의 무상태성을 보완하기 위해 쿠키와 세션이 사용되고 있다. "쿠키"는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사용자의 컴퓨터(클라이언트)에 저장되는 key-value쌍의 데이터 파일이다. 웹사이트에서 ID 기억하기를 체크하면 내 id가 유지되어 있고, 7일간 보지않기를 체크..

이 블로그에 정리되어있는 모든 개념들은 학습 개념으로 혼자 정리한 내용입니다. 잘못 기술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발견하시면 언제든지 지적해주세요😄 "프로그램"은 아직 실행되지 않은 '.exe'와 같은 파일 그 자체를 의미한다.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되면 컴퓨터 메모리 위에 올라가고 작업이 시작되는데, 이렇게 동작중인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고 한다. (컴퓨터가 어떤 일을 하고 있는 상태 - 식당에서 주방장이 요리를 하고 있는 상태) 이 프로세스안에서는 여러가지 일들이 동시에 실행되는 데, 각각의 실행들을 "쓰레드"라고 한다. (동시에 진행되는 작업들 중 하나 - 주방장이 물을 끓이면서(/1쓰레드), 야채를 씻고(/2쓰레드), 주문 내역을 확인한다(/3쓰레드))